본문 바로가기
도서/경제

당신의 투자기간을 결정하라 - 삼박자 투자법 [02]

by POWER_ESFJ 2024. 1. 31.

재테크에서 라이프사이클은 중요하다

부자들은 재테크를 길게 본다. 인생이 길기 때문이다.

 

복리의 마법을 알기에 단리의 1회성 투자보다 단기투자의 반복적인 재투자 또는 장기투자 상품에 투자한 후 무한복리를 취하는 선택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재테크 라이프사이클은 수입발생(취업, 사업), 결혼, 출산, 자녀의 진학, 은퇴 등의 중요한 사건에 따라 기간을 나누는데, 이는 이러 중요한 사건에서 수입과 지출에 큰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결혼같은 큰 지출이 필요한 사건에 많은 돈을 드리면 자본잠식기업이 되어 흑자전환하는 턴어라운드 기업이 되기 힘들다는 뜻이다.

 

은퇴는 짧아졌고 자녀의 경제적 독립을 늦어졌다.

 

개인도 기업과 마찬가지로 손익계산서상 매년 순이익이 쌓이면 유보금이 쌓이는 것으로 재무구조가 안정될 수 있다. 하지만 현금만 쌓아놓는 회사는 미래이익 혹은 미래성장이 정체된다.

 

그러므로 부동산 투자, 주식투자, 채권투자, 예금이나 보험 가입등을 통해 현금자산을 투자해서 수익을 창출하여야 한다.

왜 투자기간을 결정해야 하나?

단기투자와 장기투자는 모든면에서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다.

 

투자를 하기 전에 투자기간이 단기인지 장기인지 결정하는 것과 결정하지 않는 것은 투자성공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가 알아야 할 핵심논리는 단기투자는 단기투자대로, 장기투자는 장기투자대로 적정위험과 그 적정위험에 대한 수익률만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주식투자의 목적은 수익이다. 투자자는 자신에게 맞는 투자전략이 장기투자전략인지 단기투자전략인지만 결정하면 된다.

단기투자는 당일매매 기준으로 결론적으로 현금보유 전략과 동일하다. 당일만 매매하고 주식시장이 끝나면 현금을 보유하기 때문이다.

 

장기투자는 단기투자에 비해 위험이 있다. 주식을 계속 보유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고위험 고수익 투자 방법이다.

 

단기투자는 상대적으로 덜 위험하니 종목 분산 없이 2~3개 종목에 집중해 단기매매 집중도를 높여 수익률 극대화를 추구해야 한다.

 

장기투자는 상대적으로 더 위험하니 5~10개 정도 종목에 분산하여 수익률을 조금 낮추는 대신 위험도를 낮추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단기투자든 장기투자든 제대로 된 이해 없이 시작하면 늦든 빠르든 주식시장에서 아웃될 것이다.

 

 

단기투자 투자전략에서 종목선정은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 기본적 분석 (중요성 下)

재무제표 분석은 단기투자에서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데이트레이더들은 자신이 그날 무슨 종목을 매매했는지 재무제표는 커녕, 기업 이름도 장마감하면 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둘째, 재료분석 (중요성 上)

재료분석은 단기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분석도구이다. 주간는 단기적으로 재료가치에 의한 수요의 쏠림 현상으로 상승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그러므로 재료를 미리미리 분석해서 아직 재료가치가 주가에 다 반영되지 않았는지, 또는 추가적으로 더 나올 재료가 있는지 등을 예상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상한가 분석, 테마주 분석, 종목간의 주가 움직임의 상관관계 등

 

셋째, 기술적 분석 (중요성 中)

사례에 따라 다르다. 아무런 재료 없이 차트만으로 움직일 때가 있다. 장마감 후에 전 종목 차트를 돌려보며 차트우량주를 검색해 내일의 매매종목으로 압축시켜야 한다.

 

장기투자에서 위험분산효과를 위한 종목선정은 어떻게 해야할까?

 

첫째, 기본적 분석 (중요성 上)

장기투자에서 가장 큰 위험은 관리종목 편입, 상장폐지 위험이다.

그러므로 재무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들을 검토해 재무구조가 부실한 종목은 포트폴리오 편입종목에서 반드시 제외시켜야 한다.

 

또한 중요시 봐야할 것은 성장성이다. 장기투자의 두 번째로 큰 위험이 주가가 오르지 못할 위험이기 때문이다.

 

매출액 증가율, 또는 이익이나 영업이익 증가율 등의 성장지표들을 확인하여 재무제표상 성장형 기업을 선택해야 한다. 성장형 기업이 아닌경우 장기적으로 횡보할 가능성이 있다. 장기투자는 기회비용을 고려해야 하므로, 횡보하는 주식에 투자한 것은 기회비용의 손실로 이어진다.

 

둘째, 재료분석 (중요성 下)

장기투자에서 재료분석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 재료는 단기적인 주가에 영향을 미칠 뿐이고, 결국 기업가치가 장기적인 주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면 된다.

 

셋째, 기술적 분석 (중요성 中)

오히려 단기투자보다 장기투자에서 기술적분석이중요하다.

이 종목의 위치가 어디쯤인지, 특히 신고가 차트인지, 신저가 차트인지, 반등형 차트인지는 투자결정을 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넷째, 분산효과

장기투자는 단기투자와 달리 종목교체가 잦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한 종목에만 투자했을 경우 투자실패를 돌이킬 수 없다. 따라서 기대수익을 좀 낮추더라도 여러 종목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최대한 관계 없는 종목들로 구성해야 한다.